본문 바로가기
Visualization/Tableau

[신병훈련소 22기] Day 5-2 공간 분석

by tout l'été 2024. 1. 28.

 

 

안녕하세요. 태블로 신병훈련소 22기 day 5의 두 번째 기록입니다.☺

 이번에는 공간 분석에 대해 공부한 것을 기록하려고 합니다.

 

<INDEX>

1. 일별 평균 승/하차 승객수

2. 공간 테이블 계산을 이용한 맵 활용

3. BUFFER 함수를 이용한 맵 활용 

 

 

[전체 보기]

 

 


 

 

 

1. 일별 평균 승/하차 승객수

서울 2호선의 일별 평균 승/하차 승객수를 지도맵 위에 원으로 표시하여 어느 구간에서 승객수가 많은지 확인할 수 있는 시각화를 생성할 예정입니다.

 

1. 맵 > 배경 이미지 > 2호선 역별 승하차인원수 추출 클릭

 

2. 배경이미지에 파일을 넣고, x필드에는 2,040, y필드에는 1,654 를 입력 후, 옵션에서는 항상 전체 이미지 표시를 체크합니다.

 

 

3. 매개변수 [측정값 선택]을 생성하여, 데이터 유형은 문자열, 값과 표시 형식에 평균 승차승객수, 평균 하차승객수를 생성합니다.

 

 

4. 계산된 필드는 [평균 승하차승객수]를 생성하여 매개변수에서 평균 승차승객수를 입력했을 때는 승차총승객수의 값을 보여주고, 평균 하차승객수를 입력했을 때는 하차총승객수의 값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합니다.

 

 

5. 역명과, 측정값 선택을 세부정보에 넣고, 마크를 원으로 설정한 뒤, 계산된 필드값인 평균 승하차승객수를 색상과 크기에 넣습니다. 

→ 서울 2호선의 평균 승하차승객수를 색상과 크기로 표현하여, 어느 역에서 주로 승하차승객수가 많은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강남역, 잠실역 순으로 역시 평균 승차승객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2. 공간 테이블 계산을 이용한 맵 활용

시애틀에서 출발한 항공편의 취향지별 승객수 표현하기

 

1. 계산된 필드를 활용하여 MAKEPOINT(출발지(위도),  출발지(경도))라는 공간 계산식을 생성합니다. 

 

 

2. 계산된 필드를 활용하여 MAKEPOINT(도착지(위도),  도착지(경도))라는 공간 계산식을 생성합니다. 

 

3. MAKELINE(출발지(공간 개체), 도착지(공간 개체)) 라는 라인을 반환할 수 있는 공간 계산식을 생성합니다. 

 

 

4. 마크는 맵으로 설정하고, Arrival Country를 필터로 놓고, 전체 국가를 표시하고, Arrival Airport와 Flight Path는 세부 정보에, (평균)Passengers는 색상으로 표시합니다.

 

→ 시애틀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가는 평균 승객수를 Map으로 표시하여 시애틀에서 어느 국가로 유입이 많은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BUFFER 함수를 이용한 맵 활용 

새로운 매장을 내려면 어느 곳을 공략하는 게 좋을까요?

예시로 주유소 위치와 각 위치별로 선택한 반경을 Map으로 표시하여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2. 세부 정보에 '고유id'를 추가한 후, [모든 멤버 추가]를 클릭합니다. 

 

 

3. 시도를 필터에 표시한 뒤 단일 값(드롭다운)으로 설정합니다.

 

 

4. 시군구를 필터에 표시한 뒤 단일 값(드롭다운)으로 설정합니다.

 

 

5. 시도를 [서울]을 시군구를 [강남구]로 설정합니다.

 

6. 매개변수를 거리 선택으로 이름을 설정한 뒤, 데이터 유형을 정수로, 현재 값을 150, 허용 가능한 값은 범위로, 값 범위는 최소값 50 ~ 최대값 500, 단계 크기는 50으로 설정합니다.

 

 

 

7. 계산된 필드에서 BUFFER(MAKEPOINT(위도, 경도), 매개변수[거리 선택], 'm') 으로 공간 계산식을 생성합니다.

 

 

 

8. 맵 > 배경 맵 > 거리로 변경합니다.

   백그라운드 레이어에서 투명도는 30%로 조절합니다.

 

→ 각 주유소명 별의 위치를 Map에 표시하여 어느곳에 위치 선점을 하면 좋을지 시각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